
봄밤, 남쪽 하늘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별자리 중 하나가 있습니다. 하늘을 가로지르는 커다란 사자의 형상, 바로 사자자리(Leo)입니다. 특히 사자의 심장에 해당하는 밝은 별 레굴루스(Regulus) 덕분에 초보자도 쉽게 찾을 수 있는 별자리로, 고대부터 영웅과 용맹함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오늘은 사자자리의 구조, 쉽게 찾는 방법, 그리고 그 속에 숨겨진 그리스 신화 이야기까지 깊이 있게 소개합니다.
사자자리란?
사자자리(Leo)는 북반구 하늘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황도 12궁 중 하나로, 그 독특한 형태와 밝은 별들 덕분에 많은 천문학 애호가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사자자리는 북위 90도에서 남위 65도 사이에 위치하며, 황도면에 가까이 자리잡고 있어 태양, 달, 그리고 여러 행성들이 이 별자리를 배경으로 지나가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2월부터 5월까지, 특히 4월경에 밤하늘에서 사자자리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입니다.
구성
사자자리는 주로 밝은 별들로 구성되어 있어 식별하기 용이합니다. 대표적인 별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레굴루스(Regulus, α Leo): 사자자리의 알파별로, 겉보기 등급이 약 1.35인 1등급 별입니다. 전체 하늘에서 21번째로 밝으며, 청백색의 B형 주계열성입니다. 태양보다 약 4배 크고 288배 더 밝으며, 약 77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 데네볼라(Denebola, β Leo): 겉보기 등급이 약 2.14인 2등급 별로, 태양보다 약 1.8배 큰 A형 주계열성입니다. 약 36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 알기에바(Algieba, γ Leo): 겉보기 등급이 약 2.08인 이중성계로, 망원경을 통해 보면 두 개의 황금빛 별로 나뉘어 보입니다.
사자자리의 모양은 사자의 머리와 몸통을 연상시키며, 특히 레굴루스를 포함한 6개의 별로 이루어진 낫(Sickle) 모양의 머리 부분이 특징적입니다. 또한 데네볼라 등을 포함한 뒤쪽의 삼각형 구조도 사자자리를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천체
사자자리에서는 다양한 심우주 천체들도 관측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대상들이 있습니다.
- M65, M66: 사자자리 삼각형 근처에 위치한 나선은하로, 메시에 천체 목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두 은하는 약 3,500만 광년 떨어져 있으며 서로 중력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있습니다.
- M95, M96: 사자자리 은하군의 일부로, 약 3,800만 광년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 NGC 3628 (햄버거 은하): M65와 M66과 함께 사자자리 삼중 은하(Leo Triplet)를 형성합니다.
천문학적 의의
천문학적으로 사자자리는 태양이 매년 7월 23일부터 8월 22일까지 머무르는 황도 별자리로, 점성술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또한 사자자리에서는 매년 11월 중순, 사자자리 유성우(Leonids)가 절정을 이룹니다. 이 유성우는 템펠-터틀 혜성(55P/Tempel-Tuttle)에서 기원하며, 33년 주기로 대규모 유성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시기에 별똥별을 보기 위해 하늘을 올려다보곤 합니다.
사자자리에 얽힌 신화 이야기

옛 고대 그리스의 네메아(Nemea) 지역에는 무시무시한 괴수, 네메아의 사자가 살고 있었습니다. 이 사자는 평범한 짐승이 아니라 신들에 의해 만들어진 괴물로, 어떤 무기나 화살도 뚫을 수 없는 단단한 가죽을 지니고 있었고, 날카로운 발톱과 사나운 성질로 사람들과 가축을 위협하며 마을을 쑥대밭으로 만들었습니다.
당시 영웅 헤라클레스는 자신의 사촌인 에우리스테우스 왕의 명령으로 12가지 고난의 과업을 수행해야 했습니다. 이는 헤라클레스의 아버지 제우스를 질투한 여신 헤라의 계략으로, 헤라클레스를 괴롭히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왕은 첫 번째 과업으로 헤라클레스에게 "네메아의 사자를 죽여라"라는 명령을 내렸고, 헤라클레스는 활과 화살, 창과 방패를 들고 네메아로 향했습니다.
숲 속 깊은 곳에서 사자와 마주친 헤라클레스는 먼저 활을 쏘았지만, 화살은 사자의 가죽을 튕겨 나갔고, 창으로 찔러도 소용이 없었습니다. 결국 그는 무기를 버리고 맨손으로 사자와 맞서 싸우기로 결심했습니다. 치열한 육탄전 끝에 헤라클레스는 사자의 목을 졸라 숨통을 끊었습니다. 이렇게 공포의 대상이었던 네메아의 사자는 마침내 쓰러졌습니다.
하지만 싸움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헤라클레스는 사자의 가죽을 벗기려 했으나, 어떤 칼로도 벗길 수 없었습니다. 결국 그는 사자의 발톱을 이용해 가죽을 벗겨내고, 그것을 망토처럼 걸치며 사자의 머리를 투구처럼 썼습니다. 이 모습은 이후 헤라클레스의 상징적인 이미지로 전해지게 되었습니다.
일설에 따르면, 헤라클레스가 이 사자의 가죽을 입고 왕에게 돌아가자, 왕은 너무 놀라 항아리 속에 숨었다고도 합니다. 그의 위업을 기리기 위해 신들은 네메아의 사자를 별자리로 올려놓았고, 그것이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사자자리(Leo)입니다.
🔭 사자자리 관측 방법과 순서

사자자리(Leo)는 봄철 밤하늘에서 가장 눈에 띄는 대표 별자리 중 하나입니다. 특히 별자리의 머리 부분이 낫 모양(Sickle)으로 되어 있어, 초보자도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관측 전 준비
- 관측 시기 확인
관측 최적 시기 : 3월~5월 밤 9시~11시
북반구에서 봄철 대표 별자리
4월 중순~5월 초가 가장 선명하게 보임 - 날씨 확인
맑고 구름 없는 날 관측 추천
달빛이 강하지 않은 신월~상현 기간이 최적
대기 오염, 미세먼지 지수도 확인 - 관측 장소 선택
빛 공해가 적은 외곽 지역, 공원, 산 등
사방이 트인 넓은 곳에서 관측하면 별자리 모양이 잘 보임
🔥 관측 순서
- 별자리 위치 파악
사자자리는 봄철 남쪽 하늘에서 관측할 수 있으며, 인접 별자리로는 처녀자리(Virgo)와 게자리(Cancer)가 있습니다. - 낫 모양(Sickle) 찾기
먼저 사자자리 머리 부분을 형성하는 낫(Sickle) 모양을 찾습니다. 하늘을 보면 물음표(❓) 또는 반달 모양처럼 보이며, 그 끝 부분에 가장 밝게 빛나는 별이 바로 레굴루스(Regulus)입니다.
✅ 레굴루스는 "작은 왕(Little King)"이라는 뜻을 가진 사자자리의 심장부 - 별자리 전체 윤곽 연결
레굴루스를 찾았다면, 낫 모양 곡선을 따라 위쪽 별들을 연결해 보세요. 그다음, 낫 모양에서 동쪽으로 시선을 이동하면 사자의 등과 꼬리 부분을 이루는 별들이 이어져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사자의 누워 있는 형상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 관측 팁
- 북두칠성과 함께 찾기
북두칠성의 국자 바닥 선(두 개의 별)을 직선으로 연장하면 사자자리의 레굴루스 방향으로 이어집니다. - 스마트폰 앱 활용
Sky Guide, Stellarium, SkyView 등 별자리 앱을 이용하면 실시간 위치와 윤곽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쌍안경 또는 소형 천체망원경 사용
사자자리 주요 별들의 색깔 차이와 광도 차이를 관찰할 수 있음 - 사자자리 주변 별자리와 함께 관측
처녀자리, 게자리, 바다뱀자리(Hydra) 등과 함께 보면 봄철 별자리 관측이 더욱 즐거워집니다.
마치며
사자자리에 숨겨진 이야기, 오늘 밤 확인해보세요 사자자리는 단순히 밤하늘에 떠 있는 별자리가 아닙니다. 그 속에는 불가능해 보이는 시련 앞에서도 굴하지 않고 싸운 한 영웅의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오늘밤, 남쪽 하늘을 올려다보며 사자의 별자리와 그 속에 숨겨진 영웅의 전설을 떠올려 보세요. 수천 년 동안 이어져 온 이 별자리는, 지금 이 순간에도 용기와 도전정신의 상징으로 밤하늘을 수놓고 있습니다.
댓글